화엄경 일러두기
1. 이 우리말 번역 화엄경은 실타난타(實타難陀)역 80권본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의 완역이다.
본 번역에서는 평이한 문체의 한글을 전용하였으나, 불 . 보살(佛菩薩)의 명호, 지명, 난해한 교리용어 등의 꼭 필요한 한자(漢字)는 괄호 안에 표기하였다.
2. 불 . 보살의 명호, 지명, 술어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범어의 한역(漢譯) 음사어는 범어 원음을 따르느라고 오히려 난해해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익숙한 한문음을 따랐다.
또한 바라밀(波羅蜜), 보시(布施), 보리(菩提), 시방(十方), 다라니(陀羅尼) 등 한역음사어와 한자음이 변하여 한글음으로 통용되고 있는 관용음을 그대로 적었다.
3. 고유명사, 불 . 보살명호, 복합명사는 붙여 썼다. 또한 관용적으로 사용되어온 용어도 붙여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4. 숫자의 경우, 숫자 그대로 사용되는 경우는 아라비아숫자로 썼으며 삼세(三世), 삼독심(三毒心), 오온(五蘊)의 예처럼 의미 개념일 경우에는 한글음을 표기하였다.
단 숫자표기와 한글 표기가 병용되어 의미 파악이 곤란할 경우에는 한글에 한문을 괄호 안에 표기하였다. 예) : 이승(二乘)
5. 본 우리말역 화엄경에서는 각 품마다 내용에 따른 단락을 나누고 그 내용을 요약한 제목을 달았다.
단락의 제목은 주로 청량(淸凉)스님의 견해에 기초하여 이통현(李通玄)장자의 견해를 참조로 번역자가 정리하였다.
6. 본 우리말 역 화엄경의 각 품과 단락에 사용된 기호는 다음과 같다.
품 : 제1, 제2, 제3 과목제목 : 1, 2, 3 과목의 큰 설명(큰 제목) : (1) (2) (3) 과목의 작은 설명(작은 제목) : ① ② ③ 작은 설명 중의 분류 : ㉮㉯㉰...㉠㉡㉢
7. 본 한글판 화엄경 권 11, 12에 영인 수록된《大方廣佛華嚴經》의 원전은 중국 양주(揚州) 완흥(宛虹) 교중암(橋衆庵)에서 승각(承刻)한 판본으로써 동치(同治) 7년(1868년) 정월 절강성 천동산(天童山) 비구 추림(秋林)의 발문(跋文)이 실려 있다. 또한 본 판본은 범어사 講院의 교재로 사용되고 있다.
8. 독자의 편의를 위하여 화엄경의 주요 용어를 쉽게 풀이한《華嚴經小辭典》을 별권으로 간행하였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