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디 비밀번호 로그인 | 회원가입
청암
http://www.templevill.com/

sunjin    
적조월 (sunjin)
발심의 공덕은 측량할 수 없나니 삼세 일체 부처님을 만들어내고 세상 모든 즐거움을 이루어 내며 일체의 수승공덕 증장시키고 일체 모든 의혹은 길이 끊는다.
명상
다르마
예불(동영상)
법구경
사십이장경
백유경
채근담
향을 사르는
명상의 말씀
불교입문
대승경전노트
밀린다왕문경
능엄경-信受奉行
무비스님의 천수경
달마어록
아비달마
달라이라마
혜암큰스님
선(禪)의 뜰에서
고승 33인 법문
선승의 발자취
안심법문
참선
달마선원
지율스님[초록의 공명]
불교설화
불교상식
불교뉴스
좋은이야기
약초나라
아름다운글
쉬어가는곳
생활정보
블로그소개
궁시렁
<나로하여금 나답게...
저의 맘 상태를 확...
마음을 깨끗히 한 다음...
어려운 법문입니다. ...
우리가 찾을 것은 어디...
밤이 깊어 사람들이 잠...
오늘 조금 속상한 일이...
생사를 뭐 그리 어렵...
많이 많이 고맙습니다....
동요가 흐르네요. 잔디...
삼법인 三法印
해동마을
바람
활구참선 수행
지혜림 나연실
단공..그리고 건강
길있는 길
이영희 (^_*)/
일장춘몽(一場春夢)
흠설원
 적조월
연승. 성원스님
지혜(慧)의 문(文)
청량사 루비나
이혜운(지혜의 구름)
이영희 (^_*)/
흠설원
청원낭자네 집~
위빠사나수행소식지 도반
지리산골짜기
슬픈인연
맑은하늘의 생각 나누기
도해의 불교이야기
미륵화
진각마을
하만(何晩)거사
행복을 드리고 싶네요.
묘한거울
달빛그림자
높은음자리
로터스
보리수화원
언제나 처음처럼...
소담스럽게...*^.^*
날마다좋은날되소서
성불하세요
달리는 큰법당
바람
춘성
화이트칼라

반야심경 강의노트15편

   

     고설 반야바라밀다주 즉설주왈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사바하 (3번)


옮 김

그러므로 반야바라밀다의 주문을 말하노니 주문은 곧 이러하니라.

[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사바하]

[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사바하]

[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사바하]


풀 이

텅 비어 아무것도 얻을 것이 없는 반야의 도리를 주문으로 말하리라.

건너갔네, 건너갔네. 저 언덕에 건너갔네. 저 언덕에 모두 다 건너 깨달음을 성취했네.

성취했네, 성취했네. 모든 소망 성취했네. 만 중생들의 모든 소망 다 성취했네.

행복하여라, 행복하여라. 우리 모두 행복하여라. 이 세상 우리 모두 다 함께 행복하여라.


해 설

여기서 설해진 주문은《반야심경》의 결론입니다. 그것은 곧 팔만대장경이 결론이며,

불교전체의 결론입니다.《반야심경》전체의 내용을 이 한구절의 주문으로 압축 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옛부터 주문은 번역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했습니다.

"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사바하"는 음역한 것으로서, 범어로는

“가테 가테 파라가테 파라상가테 보디 스바하”입니다.

가테, 즉 "아제"는 '가다'의 뜻인데, 호격으로 '가는 이여' 혹은 청유형으로

'가자, 가세'라고 번역할 수 있습니다.

파라가테, 즉 "바라아제"는 '피안으로 가다'는 뜻입니다.

"바라아제"는 '저 언덕으로 가는 이여' 혹은 '저 높은 곳으로 가자'라고 의역할 수도

있습니다. 이것은 "도일체고액" 혹은 "능제일체고"한 상태입니다.

""은 '집단 모두' 혹은 '총(總)'의 뜻이 있습니다.

"모지"는 '보리', 즉 '각(覺)'이란 뜻입니다.

"사바하"는 '원만, 성취, 구경' 등의 뜻이 있는데, 앞의 내용이 원만히 이루어지도록

기원하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그래서 주문의 뜻을 다시 한 번 음미해 보면, '가는 이여, 가는 이여, 저 언덕으로

가는 이여, 저 언덕으로 온전히 가는 이여, 깨달음이여, 영원하여라'라고 풀이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다시 '가세, 가세, 저 언덕에 가세, 우리 함께 저 언덕에 가세,

깨달음이여, 행복이 있어 지이다'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하나의 주문으로《반야심경》의 마지막을 마무리 짓고 있습니다.

이 주문 속의 '가는 이여'라는 말 속에는 '당신은 어디를 향해 가고 있는가'를 묻고

있습니다. 인간은 누구나 어딘가를 향해 끊임없이 가고 있습니다.

한살은 두 살을 향해. 학생은 학교를 향해, 어른은 돈과 명예를 향해 끊임없이 가고

있습니다. 그러나 사람은 누구나 가는 방향이 전부 다릅니다. 불행을 향해 가는

사람도 있고, 행복을 향해 가는 사람도 있습니다. 또 행복을 위해 간다고 하는 것이

불행을 향해 갈 수도 있고, 올라간다고 하는 것이 내려갈 수도 있습니다.

자기 자신은 매 순간 어디를 향해 가고 있는지 점검해 보아야 합니다.

불교는 마음을 닦는 공부라고 말합니다. 마음을 닦기 위해서는 자신이

과연 어느 방향을 향해 가고 있는지 항상 되새겨 보아야 합니다.

어릴 때는 청년을 향해, 청년은 중년을 향해, 중년은 노년을 향해 쉼 없이 가는

인생이지만, 그냥 가게 내버려 두어서는 안 됩니다.

육신은 죽음을 향해 가고 있지만 마음은 지혜의 완성을 향해 나아가야 합니다.

누구나 피안을 향해 가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진정한 행복과 평화를 향해 가야

합니다. 지혜의 완성은 우리에게 행복과 평화와 자유를 가져다주기 때문입니다.

옆길을 돌아보지 말고 온전히 피안을 향해서 앞으로 가야 합니다. 외형상으로는

죽음을 향해 가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것이 진정한 자기의 본래 모습은

아닙니다. 자기 자신을 영원히 살리려면 지혜의 완성을 향해 나아가야 합니다.

신라시대에 양지(良志)스님이 계셨습니다.

그 분이 지은 향가에는 이런 구절이 있습니다.


   오다. 오다. 오다.

   오다 서럽더라.

   서럽더라 우리네여

   공덕 닦으러 오다.


그 내용은《반야심경》의 주문과 일맥상통합니다.《반야심경》에서는 '가다'라고

했지만, 여기서는 '오다'라고 표현했습니다.

맨 첫 구절에서 세 번 '오다'라고 한 것은 과거, 현재, 미래의 삼세를 통해 우리는

무한히 왔고, 오고 있고, 또 올 것이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습니다.

다음 구절의 '오다 서럽더라'는 와서 보니 우리의 인생은 괴로움의 연속이라는

말입니다. 그래서 그것을 '서럽더라'는 말로 표현했습니다.

'서럽더라 우리네여'라는 부분에서는 어떤 상황을 막론하고 누구든지 고해(苦海)

속에 젖는다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괴로움의 바다를 피해갈 사람은 아무도

없다는 것입니다. 그렇다고 그대로 주저앉아 있을 수는 없는 것입니다.

고해로 인해 서러운 인생이지만 '공덕 닦으러 오다'는 구절에서 삶의 목적을

분명히 제시하고 있는 것입니다.《반야심경》에서 피안을 향해 가는 것처럼

공덕을 닦기 위해서 삶을 살아가야 한다는 것을 마지막 구절에서는

잘 나타내 주고 있습니다.

《반야심경》의 주문과 양지스님의 노래를 같은 맥락에서 이해하자면 결국

생활 속에서 지혜를 완성할 때, 그것이 진정 살아있는 반야가 된다는 것입니다.

이상으로《반야심경》의 강설을 모두 마칩니다.《반야심경》의 공 도리를

체득함으로써 그 오묘한 이치가 생활 속의 지혜로 완성되길 기원하며, 맨 마지막의

주문인 '너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라는 끝없는 질문을 화두로 남깁니다.


모두 성불하십시오. _()_

 

2006.09.15 18:06:24 | 내 블로그 담기
대현심   _()_ _()_ _()_ 고맙습니다. 성불하십시오.
2006.09.15 23:31:09
좋은인연   _()_ _()_ _()_
2006.09.17 22:50:09
스팸댓글 또는 악의적인 댓글의 제한을 위해 사찰에서 블로그를 개설하신 후 댓글을 작성해주세요.
 


12345678910
Today 151 Total 378802